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유상증자/무상증자' 주가에 미치는 영향(권리락 기준일, 신주배정, 배당락 이란?)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주식 용어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입니다.

요즘 주식에 관심이 많으시고 이슈도 많다 보니 이 용어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도 많으실 것 같습니다.

유상증자, 무상증자는 무엇이며 이러한 것들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또한 권리락이 무엇이고 권리락 기준일 및 신주 배정가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 무상증자 - "증자"란?

두 개의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증자'라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증자'라는 것은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유상증자란, 주주배정 후에 일반공모기업이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한 뒤,

기존 주주와 새 주주에게 돈을 받고 파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주식을 새로 만들어서 파는 것입니다.

기업들이 자본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대출이나 채권을 사용하면 이자의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렇지만 유상증자로 자금을 조달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금이 늘어나고, 부채 비율은 반대로 줄어들기 때문에

재무구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유상증자는 투자자들에게 과연 좋을까요? 나쁠까요?

시가총액은 그대로인데 유상증자로 인해 주식 수가 늘어난다면 주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고 100% 유상증자가 나쁘다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기업의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사업에 필요한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상증자가 호재로 될 수도 있기는 합니다.

 

추가 설명으로, 유상증자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주주배정 방식(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팔겠다.)

- 일반공모 방식(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그렇지 않은 사람 상관없이 사겠다는 사람들에게 팔겠다.)

- 제3자배정 방식(해당 기업의 임원, 직원, 관계있는 사람한테만 팔겠다.)


무상증자란, 특별한 조건 없이 기존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해서 나눠 주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1개의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1개의 주식을 무료로 주는 증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자신들의 돈 중, 자본금 이외에 '잉여금'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자금 유입 없이, 회사에 있던 돈인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바꿔서 기존 주주에게 주식을 '무상'으로 지급해 주는 것입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조건 없이 주식을 더 받아서 주식 수가 더 늘어나니 좋은 일일 수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무상증자를 한다고 해서 눈 앞에 손실이나 수익이 발생하는 것도 아닌데 왜 굳이 주주들에게 주식을 더 주는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기업에서의 자본 총액에는 변함이 없는데 말입니다.

무상증자를 한다고 하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상황만 보더라도 2021년 4월 무상증자 계획 일정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은 잉여금이 많이 발생했으며 재무 구조가 튼튼하고, 주주를 위한 정책을 실시했다고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호재로 작용해서 주가 상승의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배당락이란? 권리락이란?

기업에서 유상증자, 무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늘리거나 배당을 할 때, 아무에게나 주지는 않습니다.

일정 날짜를 정해서 그 기준일까지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게만 신주를 인수하건 배당할 권리를 줍니다.

기업에서 공시한 기준일 이후에 주식을 매입한 사람에게는 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지는데 이를 배당락이라 합니다.

 

 

유상증자, 무상증자 개념과 관련하여 알아야 할 개념은 '권리락'입니다.

기업에서 무상증자 혹은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를 발행하기 전 신주배정기준일을 공고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기준일 2일 전까지는 가능하지만 신주배정기준일 전 일에 주식을 사면 증자를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이렇듯 기준일을 넘어,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가 없어졌다는 의미를 뜻하는 것이 바로 '권리락'입니다.

 

권리락에서는 '권리락 기준가격'이 있습니다. 권리락일 기준 가격은 권리락 전후의 1주당 가치 변화를 주가에 반영하기 위해서 조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계산법이 다릅니다.

 

'무상증자'의 경우에는 기존에 주식을 가지고 있던 주주가 무료로 주식을 받아 결론적으로 주식 수가 늘어나기는 하지만, 추가로 납입한 것은 없기 때문에 1주당 평균 단가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렇지만 무상증자 신주가 입고되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위에서 살펴봤던 유상증자의 3가지 종류 중에서 일반공모와 제3자 배정 방식은 기존 주주에게 권리 부여가 없기에 권리락이 없습니다.

 

 

여기까지 기본 주식용어 중 하나인,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그리고 권리락 및 배당락 단어의 의미와 개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물론 권리락 기준 가격과 같이 복잡한 계산 방법까지 알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우선 기본 개념만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